코칭으로 성장하는 코칭 전문 플랫폼 코아시스입니다.
코아시스가 처음이라면 돋보기를 클릭해보세요!

코치자료실 글읽기

[코칭칼럼] 고립 청년, 마음의 문턱을 낮추는 코칭의 힘; 필담에서 시작된 변화 이야기 | 쿼카 (KPC)

코칭칼럼
쿼카
2025-04-30 12:56:57
조회수 101
댓글 0
좋아요 2
#고립청년
#청년코칭
#마음열기
#사회적고립
#청년지원
#관계회복


최근 사회적으로 은둔하고 고립되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에게 맞춤형 코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대인관계와 사회활동에서 단절된 고립 청년들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기 쉬워 일반적인 코칭과는 다른 섬세하고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한 경청'입니다. 고립 청년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판단 없이 들어주고 공감해줄 상대를 간절히 원합니다. 코치는 청년의 감정과 생각을 충분히 경청하며, 안전하고 편안한 소통 공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청년 스스로가 변화의 주체임을 깨닫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


말하기를 매우 어려워하는 청년의 경우, 필담을 통한 코칭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말을 꺼내기 힘들어하는 청년과 메모지와 펜으로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으며 소통한 사례가 있습니다. 필담은 대화 속도를 늦추고 생각할 시간을 제공해 심리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이 과정에서 청년은 점차 자신의 관심사, 예를 들어 좋아하는 만화나 음악에 대해 한두 문장씩 이야기하기 시작했고 코치는 진심으로 관심을 보이며 추가 질문을 던졌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청년은 점차 답변의 길이를 늘리고 필담에서 짧은 음성 대화, 나아가 자연스러운 대화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대면 만남을 부담스러워하는 청년이 많기에 온라인이나 비대면 코칭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온라인 채팅, 화상 미팅, 챗봇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처음 접촉을 시도하고 점진적으로 오프라인 활동이나 그룹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는 단계적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코칭 과정에서 '작은 성공 경험'은 매우 중요합니다. 방 청소, 짧은 산책, 온라인 소통 등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작은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할 때마다 진심 어린 칭찬과 격려를 보내야 합니다. 이런 긍정적 경험이 쌓이면 청년은 자기효능감과 내적 동기를 점차 회복하게 됩니다. 가족의 지지와 이해 또한 핵심적입니다. 가족이 고립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고 조급해하지 않으며 인내심 있게 기다려주도록 돕는 가족 코칭이 필요합니다. 실제 은둔 경험이 있는 멘토나 또래 집단과의 만남은 정서적 안정과 소속감 회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심리상담, 진로 탐색, 자립 지원 등 다양한 외부 자원과의 연계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고립 청년 코칭은 단기적 성과보다는 장기적 관계 맺기와 꾸준한 지지가 핵심입니다. 진정성 있는 경청, 맞춤형 접근, 가족과 공동체의 지지, 실질적인 자립 지원이 유기적으로 통합될 때 고립 청년들은 점차 사회와 연결되고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열어갈 수 있습니다.

댓글